👉 “주가는 한 방향으로 가는데, 지표는 반대 신호를 주는 현상”을 말합니다.
즉, 주가는 계속 오르거나 내리는데 지표는 힘이 약해지고 있는 경우, 이는 곧 현재 추세가 끝나고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는 강력한 시그널입니다.
□ 강세 다이버전스 vs 약세 다이버전스
다이버전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-
강세 다이버전스 (Bullish Divergence)
-
주가: 저점을 낮춤
-
지표(RSI, MACD 등): 저점을 높임
-
의미: 하락세가 약해지고 매수세가 곧 우위를 점할 가능성 ↑
-
👉 매수 신호
-
-
약세 다이버전스 (Bearish Divergence)
-
주가: 고점을 높임
-
지표: 고점을 낮춤
-
의미: 상승세가 약해지고 매도세가 곧 우위를 점할 가능성 ↑
-
👉 매도 신호
-
□ 다이버전스가 중요한 이유
다이버전스는 단순히 주가 차트만 보는 것보다 추세의 이면(보이지 않는 힘)을 보여줍니다.
-
주가는 관성 때문에 계속 움직일 수 있음
-
그러나 RSI·MACD·스토캐스틱 같은 오실레이터는 실제 모멘텀(힘)을 반영
-
따라서 가격과 지표의 불일치는 추세의 한계를 알려주는 선행 신호 역할을 합니다
□ 다이버전스 활용 시 주의할 점
-
발생 위치 확인
-
강세 다이버전스 → 하락 추세 끝자락일 때 신뢰도 ↑
-
약세 다이버전스 → 상승 추세 끝자락일 때 신뢰도 ↑
-
-
거래량과 함께 확인
-
예: 상승 중 약세 다이버전스 + 거래량 감소 → 신호 신뢰도 ↑
-
□ 정리
-
다이버전스 = 가격과 지표의 불일치
-
강세 다이버전스 → 매수 신호
-
약세 다이버전스 → 매도 신호
-
신뢰도 높이려면 발생 위치 + 거래량 반드시 함께 고려
👉 다이버전스는 추세 반전의 가장 강력한 선행 신호 중 하나이므로, 초보 투자자도 반드시 익혀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